경제

저축과 투자

디아코 2024. 2. 10. 18:24

저축

저축은 현재 소비를 포기하고 미래에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 미래로 이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정된 날짜에 이자 및 원금을 회수해서 안정적인 미래소득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투자도 미래에 대한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 미래에 큰 수익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현재 소비를 포기한 다음에 이루어지는 것이 투자이기에 저축을 투자의 한 개념으로 볼 수도 있는데 안정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저축은 확정된 이자율로 미래의 현금흐름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금융회사의 부도로 인해서 인출을 못하는 사태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투자는 현금흐름에 대해서 미래에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금에 대해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수익이 발생할지도 약간 불확실합니다. 저축과 투자 사이의 자금 배분은 자금의 용도, 개인리스크 성향, 재무전략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저축과 투자

자금의 용도

기본적으로 의식주라던가 기타 소비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입출금이 금방 가능한 예금으로 넣어야 하는데 그러한 상품을 보통예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목돈을 한꺼번에 맡긴 다음에 자금을 조금 더 늘리고 싶은 일정기간 동안 찾아 쓰지 않는 상품을 거치식 상품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정기예금입니다. 또한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적립하는 상품이 있습니다. 꼬박꼬박 일정한 금액이나 금액은 다르지만 일정한 기간을 사이에 두고 적립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것을 정기적금이라고 합니다. 이 세 가지에도 생활자금을 제외한 여유자금이 있다면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리와 복리

원금에 이자율을 곱하면 이자인데 이자율을 곱하는 원금을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리는 맡긴 원금에 대해서 이자율을 계산한 것이고 복리는 돈을 예금하면 거기에 대해 이자가 붙고 그것을 찾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원금과 이자 자체에다가 이자가 붙는 것입니다. 복리는 이자도 재투자가 되기 때문에 단리보다 금액이 높습니다. 기간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단리와 복리의 수익률 차이는 크게 발생합니다. 그래서 투자를 할 때에 항상 단리인지 복리인지를 확인하여 복리가 수익면에서 더 좋다는 것을 기억하면 되겠습니다.  

 

투자와 위험

투자는 확실한 현재의 소비를 포기하고 미래에 긍정적인 이익을 바라며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들에 자산을  투입하는 것입니다.  투자와 투기는 절대적인 기준은 없지만 철저한 분석 없이 단기간 안에 부당하게 높은 수익을 바라려고 하는 것을 투기라고 말합니다. 단기와 장기로 투기와 투자를 구분하는 것은 아니고 철저한 분석이 있느냐 없느냐로 말하는데 투기는 대체적으로 휩쓸려서 하는 경우가 많고 정상적인 자금흐름 없이 한 부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의 거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확실성에 노출된 정도로 부정적 상황 외에 긍정적 가능성도 내포되어 있는 것이 리스크입니다. High risk, high return. 하이 리스크는 고위험, 하이 리턴은 고수익이라는 뜻인데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항상 거기에 따른 높은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를 해야 한다는 뜻이 속에 숨어 있습니다.  수익률은 위험이 없는 상태의 수익률 바로 무위험 수익률과 위험에 따른 추가적인 보상을 말하는 리스크 프리미엄을 합쳐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무위험 수익률은 리스크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의 수익률로 대표적으로 정기예금, 국채 이자율을 말합니다.  리스크 프리미엄은 위험에 대한 보상으로써 증가하게 됩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과 투자  (0) 2024.02.12
분산투자와 레버리지 효과  (0) 2024.02.11
금융시장과 금융상품  (0) 2024.02.07
디플레이션 원인과 영향 그리고 스태그플레이션  (0) 2024.02.06
인플레이션 원인과 대책  (0) 2024.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