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아동건강교육

디아코 2024. 8. 24. 17:05

건강한 아이

건강한 아이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사회적으로 상호 관련성을  생각하여  건강을 떠올려보면 좋습니다.  건강한 아이는 잘 먹고 잘 소화하고 친구들과 잘 놀고 잘 참여하고 굉장히 활동적인 많이 웃는 행복한 모습이 그려지는데 이런 아동 건강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유전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유전적 측면의 중요성

아동 발달은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그중에 가장 영향을 받는 것이 유전입니다. 아동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아동이 가지고 태어난 기본적 성향과 아동의 개별적인 발달 측면을 고려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는 다 똑같지 않고 아이마다 개별적으로 갖고 있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개인차에 적합한 건강에 대한 관리와 건강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동의 건강한 생활 보장을 위해 또한 스스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갖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 환경적 측면의 중요성

이 부분은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시점에서 코로나19 때문에 더욱더 우리가 건강의 중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과거보다 현시대에 아토피가 환경적 문제로 인해  일으키는 것이 많습니다. 

세 번째 예방적 측면의 중요성

예방은 미리, 사전에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발달의 과정 중이기 때문에 미성숙한 발달로 인해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미리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막거나 질병에 대한 예방을 위해서 건강 교육을 실시하는 것, 지도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적정한 휴식이 동반되지 않은 놀이는 피로감이 생길 것입니다.  이 피로감이 누적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휴식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휴식을 취하고 놀이로 다시 전환할 수 있도록 이러한 세심한 지도가 필요합니다. 

네 번째 치료적 측면의 중요성

치료적 측면은 사후에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건강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아이가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가 질병에 걸렸을 경우 약물복용을 적기에 잘해야 하고 아이에게 휴식도 주어야 하며 건강이 다시 회복될 수 있도록 충분한 것들을 제공해 주어야 합니다.  

건강한 아이

아동건강교육의 기초성

일생 동안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아동기는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때 형성된 건강은 평생 발달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이 기초성에 대해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아동건강교육의 적기성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사회 건강 발달과 밀접한 청각 발달, 시각 발달, 언어 발달, 애착 발달, 성 역할 발달에 있어서 영유아 아동기는 결정적 시기입니다. 결정적 시기 동안에 내외적인 환경 경험에 의해서 획득된 이 특성은 전 생애 모든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동기는 건강한 성장과 발달의 적기입니다. 

아동건강교육의 누적성

발달 과정에서 어떤 결손이 생기면 다음 시기 발달에 좋지 못한 장애가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영아기의 수유 관계, 수유 과정이 중요하여 이때 신뢰감을 형성해야 하는데 아이와 수유 관계에서 부실감이 생기면 청소년기에 일탈 행동, 성인기에 문제행동이 일어나고 사회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됩니다. 이런 예들이 바로 발달의 누적성을 의미합니다. 

아동건강교육의 불가역성

발달의 최적기를 놓치면 다음 시기에 이를 보완하거나 교정하기가 힘듭니다.  아동기는 스스로 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거나 자신의 생활 습관이나 환경을 변화시켜서 건강 수준을 높이기가 어려운 시기입니다. 아동은 발달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건강 교육을 실시해서 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그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또한 아동들이 실천해서 습관화할 수 있도록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아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에 미치는 가족 요인  (0) 2024.08.31
정신건강의 개념  (0) 2024.08.26
영유아 발달의 이해  (0) 2024.02.23
4차 표준보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0) 2024.02.22
영유아의 상호작용과 기본원리  (0) 202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