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리모트 워크와 언택트 비즈니스 모델

디아코 2024. 3. 9. 16:05

리모트 워크

사무실이 아닌 제3의 장소에서 일하는 것을 원격근무라고 하고 집에서 일하는 것을 재택근무라고 합니다. 이 두 가지가 합쳐진 것이 리모트 워크입니다. 리모트 워크는 코로나 19 이전에도 여러 조직에서 실행하고 있었지만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서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확산되는 이유는 직장으로 들어오는 MZ세대들의 가치관과 많이 부합됩니다. 높은 연봉보다는 자기 삶의 질을 우선시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곳이 회사였던 아날로그세대와 달리 지금의 세대는 여러 활동과 장소,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나의 또 다른 존재를 만들고 성장시키고 싶어 합니다. 그런 면에서 이 리모트 워크는 탄력적이고 유연한 근무제도 형식으로써 워라밸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딱 맞아떨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업입장에서는 투자비용을 늘리고 싶은데 자기 사무실을 고정적으로 갖고 있을 필요가 없어 사무실에 들어가는 임대료, 사무기기, 제반 집기물품들이나 고정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리모트 워크 제도가 안정되면 파트타임, 단기간 근로든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근무제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금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은 이렇게 절약된 금액들을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워크는 이미 10년 전부터 진행된 미래 조직의 운영 형태입니다. 업무환경 변화에 따라서 업무효율성, 생산성을 높이는 스마트 워크입니다. 리모트 워크는 회사 조직의 이익뿐만 아니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상당히 유용합니다. 출퇴근을 하지 않아도 집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교통혼잡도 줄이고 차량이동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한 대기오염, 가스배출도 줄어듭니다. 

리모트 워크

언택트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은 가치창출을 해야 하고 이익 실현이 되어야 합니다. 가격은 현재 시점에서 시장에서 거래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가치는 미래의 현금 흐름가지 합산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치창출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가치를 어떻게 만들어 제공할 것이냐가 문제이고 이익실현은 이미 만들어진 가치를 어떻게 꾸준히 이익을 창출해 내느냐가 문제입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표적인 기술인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을 이용해서 수익 모델을 실현하는 것이 기존의 아날로그 비즈니스 모델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이 중 언택트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하면 크게 콘텐츠, 고객 경험, 플랫폼이 결합되어 있어야만 언텍트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말합니다. 콘텐츠는 스토리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 수단을 콘텐츠라 하며 일단 스토리가 있어야 수요자들이 관심 있게 봅니다. 고객 경험은 다양한 고객들이 몰입해서 그것에 따르는 수많은 경험들이 축척돼 있어야 합니다. 플랫폼은 기차역이란 공간에서 기차를 타는 사람과 또 타려는 사람, 움직이는 사람들을 비즈니스로 보고 수요자와 공급자가 만나는 물리적 공간이 이제는 유형이 아니라 무형으로 확산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언택트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입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성장의 의의  (0) 2024.04.05
플랫폼이란  (0) 2024.03.18
금리란  (0) 2024.03.05
소득과 투자  (0) 2024.03.04
금융기관  (0) 2024.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