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와 채권
채권은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움직입니다. 채권자체가 이자를 주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금리가 꾸준히 오르면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채권은 발행일로부터 만기일 동안 금리를 정해놓고 나눠서 지급하거나 재투자해서 돌려줍니다. 적혀있는 금리는 수시로 고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확정된 것이기에 시장금리가 계속해서 상승하면 새로 발행하는 채권 같은 경우 높은 금리를 주게 되어 똑같은 위험에서 금리가 높은 것을 선호하게 됩니다. 그래서 과거에 발행한 채권의 가격은 인기가 없어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기간이 긴 경우에는 금리 상승이 계속 지속되다 보면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어 금리상승기에는 만기가 긴 장기채보다는 단기채에 투자하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됩니다. 하이일드채권은 투기등급채권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하는 고수익, 고위험 채권입니다. 하이일드채권 같은 경우에는 투기등급이 위험하여 수익률도 많이 주지만 기간은 단기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간이 짧고 높은 금리를 주고 있는 하이일드채권 같은 경우 금리 상승기에 가격 변동이 크게 일어나지 않고 보통 호황일 때는 기업 실적이 좋아서 위험한 기업들도 판매를 통해 수요가 증가합니다. 불황일 때는 수익성이 조금 낮은 기업들도 위험할 수 있어 하이일드채권의 인기가 떨어지고 안전한 투자등급을 선호합니다. 기준금리가 높아지게 되면 이 기준금리에 따라서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중 금리도 높아지게 되어 기업에서 회사채를 발행할 때 시중 금리와 맞춰서 발행하기 때문에 계속 금리가 오르게 되면 비싼 금리를 줘야 하니 더 오르기 전에 회사채를 발행하고자 하여 회사채 발행이 늘어납니다.
금리와 주식시장
금리와 관련해서 채권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줍니다.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주식시장은 하락합니다. 주식시장은 기업의 성과와 관련하다 보니 기업의 금리가 오르게 되면 기업에서는 자금 조달에 대한 부담이 있고 가계의 소비가 줄어들어 기업 실적도 줄게 됩니다. 금리상승기에는 주식시장에 위험이 커 안전한 예금이나, 적금등의 자산을 선호해 과거 금리상승기 동안 주가지수는 하락하는 관계에 있습니다. 기업에서 자금 조달에 따른 부담이 증가하여 수익성이 저하되고 이자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에 투자도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금리와 주식시장은 반대의 영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시장은 굉장히 복잡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는 외국인 투자 비용이 높습니다. 삼성전자 같은 경우 외국인 투자 비중이 50%를 넘어 주식시장은 금리 외에도 환율이라던가 미국의 금리, 물가 그리고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그중 환율과는 마이너스 관계에 있습니다. 그리고 환율이 상승하면 주가지수는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에 있는 외국인을 기준으로 할 때 환율이 상승하면 지금 가지고 있는 주식을 달러로 바꿀 때 손해를 보게 되어 환율이 더 오르기 전에 주식을 처분해서 달러로 바꾸고 싶어 하는 요인이 있습니다. 그래서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외국인들의 주식 처분이 늘어나게 되고 판매하는 사람은 많은데 사고자 하는 사람은 적어 주식 시장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안전한 미국 쪽으로 투자하고 싶은 경향이 많습니다. 그러면 환율과 상관없이 미국 금리 인상 자체로 국내에 들어있는 외국자본이 달러로 바꿔 빠져나가게 되어 주식시장이 하락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물가변동과도 영향이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통화량이 많아 화폐 가치가 떨어져 금리를 인상하게 되고 기업의 부담 증가로 인해 주식시장이 침체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주식시장은 금리 외에 정치, 경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영향을 받게 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개념과 분석 (0) | 2024.02.24 |
---|---|
특수한 형태의 채권 (0) | 2024.02.17 |
채권과 투자 (0) | 2024.02.12 |
분산투자와 레버리지 효과 (0) | 2024.02.11 |
저축과 투자 (0)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