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긍정적 상호작용
상호작용은 중요합니다. 아이와의 관계에서 언어와 비언어로 서로 교류를 하게 되는데 언어와 비언어의 상호작용은 중요하며 비언어는 정서적인 소통까지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상호작용의미와 기본원리
영유아기는 아이에게 중요한 시기입니다. 영유아기를 담당하는 부모와 교사는 아이를 키우는 데 있어서 피곤함, 힘듦, 스트레스에 집중하지 않고 그것을 뛰어넘어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사람인가를 인식해야 합니다. 그러할 때 다른 사람도 존중하게 됩니다. 자존감을 잘 형성시켜야 다음 공동체, 그다음 공동체에서의 인간관계 속에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부모의 양육태도로 한 인간을 성장시키는 데 있어 긍정적인 발달을 이어가고 그로 인해 아이가 성장하여 다음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부모와 교사는 그들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존재입니다.
영유아기는 발달을 하고 고착이 되는 시기입니다. 아이가 사회 속에서 이겨내고 극복하고 행동하는 것은 영유아기 때 발달된 건강한 자존감을 가진 아이들에게서 나타납니다. 어려움의 과정을 거뜬히 이겨내고 회복하여 살아가는 아이와 그렇지 않고 좌절하고 우울감을 갖는 아이는 영유아기 때 그러한 근력을 길렀느냐 아니냐에 따라 나눠집니다. 부모의 존재감을 부모가 알 때 자신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를 인지하게 됩니다. 부모가 그것을 실천하지 못하는 것은 모르기 때문이 아니라 열정, 존재감, 정신적인 근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부모의 말과 행동은 한 인간을 발달시키는데 영향을 줍니다. 부모는 위대한 언어와 행동으로 아이에게 발달시킬 수 있는 영향을 줘야 합니다. 사람이 외모를 가꾸는데 시간을 할애하고 노력하는 것처럼 내면에 대한 모습과 태도도 긍정적인 나의 내면을 보여주기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아름다운 내면은 언어와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나의 언어와 행동은 영유아기의 발달의 기초를 이루는데 중요한 것임을 잊지 않고 자존감 형성부터 집중하여 자기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잘 형성되도록 합니다. 자존감을 높이는 것은 나의 약점을 인정하고 그것을 강점화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먹는 것도 나를 존중하는 음식을 먹을 때 자존감을 높이는 노력이 됩니다.
영유아기의 상호 작용은 대인관계의 기초를 길러 가는 것입니다. 상호작용은 일방적인 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에서 주고받는 것이어야 합니다. 부모는 반응을 잘하여 영유아들이 느낄 수 있도록 알아차릴 있도록 말과 행동으로 보여줍니다. 아이를 민감하게 바라보면 반응을 잘하게 됩니다. 상호작용은 아이의 발달과 습관까지도 영향을 줍니다.
영유아 존중
영유아들의 환경은 인적환경과 물리적 환경이 있는데 여기서 인적환경은 부모와 교사를 말합니다. 아무리 고급스런 물리적 환경에 있더라도 영유아에게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적환경입니다. 보육의 기초는 관찰이고 관찰은 반응하기 위해서 바라보는 것입니다. 적합한 상호작용을 이루려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정서적인 것까지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적 경청이 있으면 아이의 요구에 대해 그것에 대한 정서까지 공감하는 상호작용을 해야 합니다. 아이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할 때에는 아이가 건강한 정서를 이루고 있음을 알고 긍정적인 정서로 코칭합니다. 먼저 감정을 공감하고 대안을 줍니다. 감정의 공감으로 행동을 제한할 때 부정적인 언어가 나올 수 있습니다. 안 돼, 아니야, 땡같은 부정어를 쓰지 않고 안 되는 이유를 알려주어 그다음 할 수 있는 행동을 안내합니다. 한 가지 대안으로 안 될 때에는 창의적인 다른 대안을 줍니다. 위험한 행동이나 규범, 인성적, 도덕적으로 안 되는 행동을 할 때에 영유아들의 발달적 특징을 알고 그에 맞게 코칭합니다. 상호작용은 아이의 개별적인 특징 곧 기질을 알아야 합니다. 기질은 순한 기질, 급하고 까다로운 기질, 반응이 느린 기질이 있는데 부모와 교사는 아이의 이러한 기질을 알고 이해해야 합니다. 상호작용은 아이들의 생각을 알고자 하는 관점에서부터 시작합니다. 모든 시점의 기준이 영유아이어야 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아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 발달의 이해 (0) | 2024.02.23 |
---|---|
4차 표준보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0) | 2024.02.22 |
영유아 건강과 안전 그리고 교사의 역할 (0) | 2024.02.19 |
영유아 문제행동 개념과 이해 (0) | 2024.02.16 |
아동복지와 인권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