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열사병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 여름철 생명을 지키는 필수 정보

디아코 2025. 7. 11. 17:02

여름철 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에서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온열질환이 바로 **열사병(heat stroke)**입니다. 열사병은 단순히 더운 날씨로 인한 불쾌감에 그치지 않고,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즉각적인 대처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열사병의 주요 증상, 원인, 예방법, 응급처치 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열사병이란? 정의와 위험성

열사병은 체온조절 기능이 마비되면서 체내 열이 배출되지 않아 발생하는 급성질환입니다. 체온이 40도 이상까지 상승하고, 중추신경계 이상이 동반되며 의식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 야외에서 일하거나 운동하는 사람, 노인과 어린이, 만성질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하며, 치료가 늦을 경우 장기 손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열사병 주요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더위로 착각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빠르게 심각해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고열 (40도 이상)

열사병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체온 급상승입니다. 열이 나는데도 땀이 나지 않거나 매우 적게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의식 장애

현기증, 방향감각 상실, 혼란, 불안, 집중력 저하, 환각, 심한 경우 의식 상실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피부 이상

피부가 붉고 뜨거우며 건조한 상태로, 땀샘 기능이 마비되어 체온이 조절되지 못합니다.

4. 빠른 심박수 및 호흡

심장은 체온을 낮추기 위해 더 빠르게 뛰게 되고, 호흡도 짧고 가빠지게 됩니다.

5. 근육통과 경련

열사병 초기에는 열경련이 동반될 수 있으며, 전신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6. 구토와 메스꺼움

소화기 증상으로 오심과 구토가 발생하며, 식욕이 완전히 떨어집니다.

7. 피로감과 무기력

몸이 무겁고 움직이기 힘들 정도의 피로감이 몰려오며, 쉽게 졸림과 의식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열사병 원인: 이렇게 발생합니다

열사병은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
  • 격렬한 야외활동이나 운동 중 수분·염분 소실
  • 통풍이 안 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오래 머무를 때
  • 알코올이나 특정 약물 복용으로 체온조절 능력이 떨어질 때

특히 65세 이상 노인, 영유아, 비만, 심장·신장 질환자는 열사병 고위험군에 해당하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열사병 예방법: 미리 알고 실천하세요

  1. 충분한 수분 섭취
    갈증이 나지 않아도 1~2시간마다 물 한 컵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야외 활동 시간 조절
    기온이 가장 높은 오전 11시~오후 5시에는 외출이나 운동을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옷 착용
    면 소재의 헐렁한 옷을 입고, 어두운 색보다는 밝은 색을 선택하세요.
  4. 폭염특보 수시 확인
    기상청 앱이나 재난 문자로 폭염주의보·경보 상황을 확인하고 대비합니다.
  5. 냉방기기 적극 활용
    에어컨, 선풍기를 적절히 사용하되, 실내 온도는 26~28도 유지가 적당합니다.
  6. 무더위 쉼터 이용
    냉방 시설이 부족한 경우, 주민센터나 도서관 등 무더위 쉼터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열사병 응급처치 방법

응급 상황 시 반드시 이렇게 하세요:

  1. 즉시 119 신고 후 시원한 장소로 이동
    그늘이나 에어컨이 있는 실내로 옮깁니다.
  2. 체온 낮추기
    젖은 수건, 얼음팩 등을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대어 체온을 떨어뜨립니다.
  3. 옷 벗기고 통풍
    몸에 달라붙은 옷을 벗기고 선풍기나 부채로 체온을 낮춰줍니다.
  4. 의식이 있으면 수분 제공
    미지근한 물이나 전해질이 포함된 음료를 천천히 마시게 합니다. 단, 의식이 없으면 억지로 먹이지 말 것!
  5. 의식 불명, 구토, 발작 시 즉시 병원 이송
    증상이 심각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반드시 의료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마무리: 열사병은 예방이 생명을 살립니다

열사병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올바른 정보와 사전 대비만으로도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는 증상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작은 이상이라도 느껴지면 즉시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